실무에 활용하는 Elasticsearch 검색엔진 구축 CAMP
겪어보지 않고는 알 수 없는 ELASTICSEARCH 실무.
실제 구축부터 운영까지 현업 전문가의 노하우를 배워가세요!

- 기간
- 2020. 1. 8 - 2020. 2. 26 총 8주
- 일정
- 매주 수요일 19:00 - 22:30 주 1회, 24시간
- 장소
- 패스트캠퍼스 강남강의장 강남역 4번 출구, 미왕빌딩
- 문의
- 02-568-9886 help-ds@fastcampus.co.kr
본 강의는 모집이 마감되었습니다.
다음 기수 출시알림을 신청해주시면, 특별 할인혜택과 함께 가장 먼저 소식을 알려드리겠습니다.
ELASTICSEARCH로 실제 검색 서비스를 구현하고 싶나요?
실무자의 노하우 그대로, 설치부터 활용까지 제대로 배울 국내 유일 한국어 커리큘럼!

박상헌 강사님과 함께라면
8주 후, 이런 것들이 가능해집니다.
데이터 node 추가하기, 색인 구성 및 인덱스를 분기하는 rollover,
Telegram을 이용한 Elasticsearch 설정 방법 등
*본 영상은 수강생들의 실습 이해를 돕기 위해 강사님께서 직접 제작하여 배포하신 동영상의 일부입니다.
강의특징.
#실무 활용에 특화된 체계적인 커리큘럼
단순한 사용법을 넘어 환경설정, 검색 성능 최적화, 모니터링 등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내용만 골라 커리큘럼을 구성하였습니다. 8주 후, 배운 내용을 바로 실무에 적용하여 검색 서비스를 구축하고 직접 운영하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 ELASTICSEARCH 서비스 구축/운영 담당자에게 직접 배우는 실무 노하우
본 CAMP에서는 카카오에서 시스템엔지니어로 사내 Elasticsearch 서비스 구축 및 운영을 담당하고 계신 현업 강사님의 강의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서비스 운영에 Elasticsearch를 적용하고 있는 강사님의 실무 노하우를 모두 가져가세요! 또한 8회차 강의에서는 Korea Elasticsearch User Group 운영진으로, 다양한 분야에 Elasticsearch를 활용하신 특강 강사님의 강의도 진행합니다.
#국내 유일의 ELASTICSEARCH 한국어 커리큘럼
본 과정에서는 Elasticsearch 최신 버전을 사용하여 실습을 진행합니다. 최신 Elasticsearch를 배울 수 있는 유일한 한국어 교육과정입니다.
수강대상.

운영노하우까지 체계적으로 익히고자 하는
개발자/데이터 분석가
※ NOTICE 수강 전, 선수지식을 꼭 확인해주세요!😀
* Linux 계열 시스템에 접근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어야 합니다.
* HTTP protocal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 아키텍처인 RESTful API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합니다.
* Bash 및 Python Script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커리큘럼.
기본 개념 및 설치부터 실무 활용 방법까지 단계별로 진행하는 체계적인 3단계 커리큘럼

Elasticsearch 시작하기

Elasticsearch Basic Usage

Elasticsearch Advanced Usage
– Elasticsearch에 대하여
– Elasticsearch의 용어 및 개념 정리
Elasticsearch 설치
– 패키지 매니저로 설치하기
– 소스 코드로 설치하기
– Kibana Dev Tools 활용하기
– 인덱스 생성 및 삭제, 조회
– 문서 색인 및 조회
– 문서 갱신 및 삭제
– 클러스터 정보 확인하기
Elasticsearch 플러그인
– 플러그인이란?
– 플러그인의 설치
– 한눈에 클러스터를 보기 위한 head 플러그인 활용
– 클러스터의 사용률을 보기 위한 HQ 플러그인 활용
– Elasticsearch의 핵심인 elasticsearch.yml 설정
– 힙사이즈의 중요성, jvm.options
Elasticsearch 클러스터 운영
– 무중단 운영을 위한 롤링 리스타트
– 안정적인 성능 제공을 위한 샤드 분배 방법
– index setting
– 미리 정의된 template으로 인덱싱하기
– 비용을 절감하는 운영 방법 hot-warm data node
Elasticsearch API 활용하기
– 클러스터 운영 _cluster API
– 클러스터 인덱스 마이그레이션 _reindex API
– 벌크 인덱싱 _bulk API
– 그 외 운영에 유용한 APIs
– 인덱스 생성 과정
– 분석기 변경 방법
– 쿼리 생성
Elasticsearch 색인 기능 최적화
– 필요하지 않다면 쓰지 말아야 할 기능들, _all 필드
– 미리 정해놓은 스키마로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는 static mapping 적용하기
– 인덱싱 된 데이터를 검색 결과에 반영할 수 있도록 refresh_interval 변경하기
Elasticsearch 검색 성능 최적화
– 검색에 유리하도록 쿼리 튜닝하기 – 검색 성능을 위해 샤드 배치를 결정하는 노하우
Elasticsearch 모니터링
– 데이터의 누락이 발생하는 순간, rejected
– _cat API로 클러스터 상태 모니터링 하기
– _stats API로 클러스터의 리소스 사용 지표 모니터링 하기
운영에 도움을 주는 오픈소스 툴
– 다양한 배치 작업이 가능한 curator
– 쉽게 배포하고, 쉽게 작업할 수 있는 ansible
– 한 순간도 놓치지 않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외부 notification pusher 사용
– e-commerce 상품 검색 플랫폼
– 로그 수집/ 분석 플랫폼
– 모니터링 플랫폼
강의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를 한 눈에 보고 싶다면? 교육 과정 소개서를 확인해주세요!
* 본 소개서는 회사 제출용으로도 사용 가능합니다.
Q&A.
강의자료 예시.
수강후기.

수강생 박요한님
강사소개.

박상헌 강사님
현) 카카오 시스템엔지니어
– Elasticsearch 서비스 구축 및 운영
* Github: https://github.com/benjamin-btn
강사님 한마디
현재 다양한 카카오 서비스의 로그집계, 통계, 분석을 위한 클러스터와 다음 증권 등의 검색엔진 서비스를 위한 클러스터 등, 250여 개의 Elasticsearch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업에서 쌓은 경험과 노하우를 본 강의를 통해 모두 전달드리겠습니다.
강사님 인터뷰 보기 >
정호욱 강사님
실무자 특강 진행
약력
현) WithInnovation(여기어때) 플랫폼인프라개발실 실장
– Facebook Korea Elasticsearch User Group 운영진
– 삼성전자, NAVER, Yahoo Korea 등에서 Software Engineer로 근무
– 쿠팡, 미미박스, Gruter에서 Elasticsearch Specialist로 검색 엔진 개발
– [실무 예제로 배우는 Elasticsearch 검색엔진-기본편 & 활용편] 집필
강의장안내.
유의사항 및 환불규정.
수강료.
국내 9개 카드사 12개월 무이자 할부 지원!